바로가기 메뉴
메인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대한치과의사협회지

협회지 목록

제54권 8호2016.08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치과병의원 운영실태 연구

  • 작성자유수빈 외 다수

투고일:2016. 5. 19         심사일:2016. 6. 27         게재확정일:2016. 7. 8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치과병의원 운영실태 연구

: 광역자치단체와 특별자치단체의 인구를 중심으로

국립경찰병원 치과센터1), 한세대학교 산업보안학과2)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치과센터3)
유 수 빈1), 송 봉 규2)*, 양 병 은3)

 

ABSTRACT

The study about operation condition of dental hospital and clinics used public data : focus on population of local autonomous entity

1)Dental Clinic Center, National Police Hospital, 2)Department of Industrial Security, Hansei University, 3)Dental Clinic Center, Hanllym Univ. Sungsim Hospital
Su-Been Yu1), Bong-Gyu Song2), Byoung-Eun Yang3)

 

This study assayed regional distribution of dental hospital & dental clinics, the number of population & households per one dental hospital & clinic, operation condition & duration. This study used public data that display from 1946 years(the first dental clinic open in republic of korea) to 2016 years. We collected present condition of 21,686 dental hospital and clinics available in public data portal site on 28. Feb.2016. Data were classified by scale, location, permission year, operation duration of dental hospital & clinics and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Surveyed on Feb. 2016. Best top 10 regions of permission dental clinics are ① Gangnam-gu, Seoul(1,337), ② Seongnamsi, Gyeonggi-do(555), ③ Songpa-gu, Seoul(491), ④ Yeongdeungpo-gu, Seoul(472), ⑤ Suwon-si, Gyeonggi-do(443), ⑥ Seocho-gu, Seoul(428), ⑦ Nowon-gu, Seoul(417), ⑧ Goyang-si, Gyeonggi-do(413), ⑨ Jung-gu, Seoul(380), ⑩ Yongin-si, Gyeonggi-do(353). Whereas best top 10 regions of operating dental clinics are ① Gangnam-gu, Seoul(581), ② Seongnamsi, Gyeonggi-do(415), ③ Suwon-si, Gyeonggi-do(382), ④ Seocho-gu, Seoul(320), ⑤ Changwon-si, Gyeongsangnam-do(303), ⑥ Songpa-gu, Seoul(295) ⑦ Goyang-si, Gyeonggi-do(290), ⑧ Bucheon-si and Yongin-si, Gyeonggi-do(262), ⑨ Jeonju-si, Jeollabuk-do(224).
Average population per one dental hospital & clinic by regional local government are 3,120 people. Best five region of population per one dental hospital & clinic are ① Sejong-si(5,272), ② Gangwon-do(4,653), ③ Chungcheongbuk-do(4,513), ④ Gyeongsangbuk-do(4,490), ⑤ Chungcheongnam-do(4,402). Average households per one dental hospital & clinic by regional local government are 1,316 households. Best three region of households per one dental hospital & clinic are ① Sejong-si(2,126), ② Gangwon-do(2,057), ③ Gyeongsangbuk-do(1,946). From 1946 to 1986, permission and operating dental hospital and clinics was steadily increasing. On 1986-1990, 1991-1995, permission, operation and closure of dental hospital and clinics increase rapidly. From the 2011-2015 to 2016(present), permission, operation and closure of dental hospital and clinics is decreasing. Average operating duration of closured dental hospital and clinics are 14.054 years.
We need to map of dental hospital and clinics for open and operation of one, base on analyzed results. In an era of 30,000 dentist, we should to be concerned about operation of dental clinics in the light of past operating condition.

 

Key words : big data, public portal data, dental hospital and clinics, open and operate dental clinics, mapping

 

Corresponding Author
송봉규(Bong-Gyu Song)
경기도 군포시 한세로 30 한세대학교 산업보안학과 
Tel : +82-31-450-9880, E-mail : songbonggyu@naver.com

 

 

Ⅰ. 서론 

 

현대 사회는 수많은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생성된다. 그 데이터를 가공, 분석함에 따라 상황인식, 의사결정, 그리고 미래 예측이 가능하게 하는 영역으로 발전하고 있다. 점점 복잡해지고 위험(risk)이 난무하는 환경에서 실시간 빅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대규모 데이터 수집, 관리, 처리, 분석 기술의 발전은 정부와 기업이 시장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빅데이터에 대한 대중적인 관심을 시작으로 데이터의 중요성과 그 분석의 가치에 대한 인식 증가로 정부에서 보유하고 있는 빅데이터인 공공데이터의 이용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공공데이터란 2014년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국가기관이 생성, 취득, 관리하는 자료 또는 행정정보를 말하며, 공공데이터포털은 국가가 다양한 수요자를 위하여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의미한다(법 제2조 및 제3조). 공공데이터가 공개되면서 다양한 수요자들은 공공데이터포털에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고 있다.
면허 치과의사 3만 시대에 치과병의원 개원과 운영은 개인의 역량과 경험, 선후배의 조언, 전문 컨설턴트 자문 등에 영향을 받는다1). 치과 영역에서도 이러한 개인의 주관적인 자료에서 탈피하여 객관적인 빅데이터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개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치과병의원 운영 실태를 광역자치단체와 특별자치단체의 인구변수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인구변수를 선택한 이유는 인구는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변수이며, 치과병의원 운영에 있어서도 치과병의원의 잠재적 고객인 주변 인구와 이를 감안한 위치는 중요한 변수이기 때문이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치과병의원 운영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연구를 바탕으로 치과병의원 관련 단체나 의료인이 개원이나 운영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Ⅱ. 분석자료 및 방법 

 

1. 분석자료

이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공공데이터를 공개하고 있는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에서 2016년 2월 28일에 수집한 치과병원 21,686개 현황이다. 공개된 치과현황 자료는 Microsoft Excel 형식으로 사업장규모, 사업장명, 소재지 전체주소, 도로명주소, 인허가일자, 영업상태, 폐업일자, 휴업시작일자, 휴업종료일자, 재개업일자, 소재지면적, 소재지우편번호, 병상수, 의료기관종별명, 의료인수, 입원수, 진료과목내용명, 총면적, 총인원 등으로 분류되어 있다. 공개된 자료에서 분류만 있을뿐 입력된 값이 없는 소재지면적, 병상수, 의료기관종별명, 의료인수, 입원수, 진료과목내용명, 총면적, 총인원 등을 제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1,686개 치과병원을 1) 사업장규모, 2) 소재지 주소, 3) 영업상태, 4) 인허가연도, 5) 운영기간 등을 중심으로 재분류 후 지역별 치과병의원 분포, 치과병의원과 인구, 치과병의원 운영상태와 운영기간을 분석하였다(<표 1> 참조)1).

 

2. 분석방법

이 연구에서는 치과병의원의 운영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공공데이터포털에서 2016년 2월 기준 공개된 전국 치과병원 21,686개 현황 Excel 자료를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세부적으로 우선 광역자치단체별 치과병의원수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에 있어서는 행정자치부 등록인구수, 시도면적 등도 활용하였다. 또한 광역자치단체별 연도별 인허가수와 폐업수의 관계와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과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ANOVA)) 을 실시하였다. 공개된 공공데이터 중 일부는 분석을 위해 코딩값을 변환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Ⅲ. 분석결과 

 

1. 분석자료의 일반적 특성

분석한 치과병의원 21,686개의 병의원규모, 병의원소재지, 영업상태, 인허가연도, 운영기간 등 일반적 특성 분포는 <표 2>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2016년 2월 기준 인허가를 받은 치과병의원은 의원급 21,379개, 병원급 307개로 전체 21,686개이다. 치과병의원은 서울특별시 7,336개(33.8%), 경기도 4,556개(21.1%) 등 수도권이 11,892개로 전체의 54.9%를 차지하고 있다. 2016년 2월 현재 인허가를 받은 21,686개 치과병의원 중 73.8%(16,005개)가 영업중이며, 26.0%(5,649개)가 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개된 자료를 그대로 분석하면 치과병의원은 1946년에 처음 인허가를 받았으며, 2006년 996개, 2005년 995개, 2010년 975개 순으로 연도별 인허가 치과병의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과병의원 인허가 수가 100개가 넘어가는 1982년부터 2015년까지 분포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2. 지역별 치과병의원 분포

분석단위를 광역자치단체와 특별자치단체에서 포함된 시·군·구로 확장한 치과병의원의 지역별 분포를 <표 3>에 제시하였다. 2016년 2월 기준 우리나라에서 치과병의원 인허가수가 많은 10개 지역은 ① 서울특별시 강남구(1,337개), ② 경기도 성남시(555개), ③ 서울특별시 송파구(491개)와 ④ 서울특별시 영등포구(472개), ⑤ 경기도 수원시(443개), ⑥ 서울특별시 서초구(428개), ⑦ 서울특별시 노원구(417개), ⑧ 경기도 고양시(413개), ⑨ 서울특별시 중구(380개), ⑩ 경기도 용인시(353개)로 나타났다. 반면 실질적으로 운영중인 치과병의원이 많은 10개 지역은 ① 서울특별시 강남구(581개), ② 경기도 성남시(415개), ③ 경기도 수원시 (382개), ④ 서울특별시 서초구(320개), ⑤ 경상남도 창원시(303개), ⑥ 서울특별시 송파구(295개)와 ⑦ 경기도 고양시(290개), ⑧ 경기도 부천시(262개)와 용인시(262개), ⑩ 전라북도 전주시(224개)로 나타났다.


인허가받은 치과병의원이 많은 상위 10개 지역의 인허가수 대비 현재 운영수 비율을 살펴보면, 경기도 수원시 86.2%, 서울특별시 서초구 74.8%, 경기도 용인시 74.2% 순으로 높았으며, 서울특별시 강남구 43.5%, 노원구 44.8%, 영등포구 46.8%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국적으로 보면 인허가수 대비 현재 운영수 비율은 세종특별자치시와 제주특별자치도, 광역자치도가 특별시와 광역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서울시 강남구, 노원구, 영등포구에서는 인허가받은 치과병의원 10개 중 4개만 운영되고 있으며, 경기도 수원시와 용인시, 서울특별시 서초구는 인허가받은 치과병의원 10개 중 7-8개가 운영되고 있다.

 

3. 치과병의원과 인구


가.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
<표 5>는 광역자치단체별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분석에서 사용된 광역자치단체별 인구수는 행정자치부 2015년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이다. <표 5>에서 광역자치단체별 ‘인허가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는 등록인구수를 인허가 치과병의원수로, ‘운영중인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는 등록인구수를 운영중인 치과병의원수로 나눈 결과이다.
실제 운영중인 치과병의원을 중심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광역자치단체별로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는 평균 3,120명이며,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가 높은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 5,272명, 강원도 4,653명, 충청북도 4,513명, 경상북도, 4,490명, 충청남도 4,402명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특별시와 광역시 분석결과에 의하면, 인천광역시 4,052명, 울산광역시 3,242명, 대전광역시 3,112명, 부산광역시 3,032명, 대구광역시 3,012명, 서울특별시 2,154명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인천광역시와 서울특별시의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는 약 2배정도 차이가 나타났다.

 

나. 치과병의원 1개당 세대수
<표 6>은 광역자치단체별 치과병의원 1개당 세대수 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분석에서 사용된 광역자치단체별 세대수는 행정자치부 2016년 2월 주민등록 세대수 현황이다. 실제 운영중인 치과병의원을 중심으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광역자치단체별로 치과병의원 1개당 평균 세대수는 1,316세대이며, 치과병의원 1개당 세대수가 높은 지역은 세종특별자치시 2,126세대, 강원도 2,057세대, 경상북도 1,946세대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특별시와 광역시 분석결과에 의하면, 인천광역시 1,601세대, 울산광역시 1,250세대, 부산광역시 1,243세대, 대전광역시 1,227세대, 대구광역시 1,192세대, 서울특별시 901세대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인천광역시와 서울특별시의 치과병의원 1개당 세대수는 약 1.8배정도 차이가 나타났다.

 

다. 치과병의원 실태와 인구특성
<표 7>은 앞에서 분석한 광역자치단체별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 세대수 등을 종합하여 치과병의원 실태와 인구특성 분포 재구성하여 나타낸 것이다. 광역자치단체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등 수도권에서 치과병의원이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이 운영되고 있다.
둘째, 세종특별자치시는 치과병원의원수는 적지만 인구수, 세대수는 많은 반면, 도시면적은 작아서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 세대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제주특별자치도도 세종특별자치시와 유사하게 치과병원의원수는 적지만 인구수, 세대수는 많아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 세대수가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특별시와 광역시는 광역자치도에 비해 치과병의원수는 많지만 1개당 인구수와 세대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인천광역시와 울산광역시는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와 세대수가 광역자치도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4. 치과병의원 운영상태와 운영기간

가. 5년 단위별 치과병원 인허가연도와 운영상태
5년 단위별 치과병의원 인허가연도에 따른 운영기간은 <표 8>과 같다. 휴업상태인 치과병의원수는 운영중이거나 폐업상태인 치과병의원에 비해 현저히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8>의 5년 단위별 치과병의원 인허가수에 따른 2016년 2월 현재 운영수와 폐업수의 변화추이를 도식화하면 <그림 2>와 같다. 휴업상태인 치과병의원은 32개로 운영중과 폐업상태인 치과병의원에 비해 분포가 낮아서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그림 2>의 변화추이를 살펴보면, 1946년에서 1986년까지는 인허가수에 따른 운영상태가 꾸준히 증가하다, 1986-1990년, 1991-1995년에 걸쳐 치과병의원 인허가수가 급증하며 이에 따라 운영수와 폐업수도 급증하게 된다. 증가하던 치과병의원 인허가수와 운영수 및 폐업수는 2011-2015년부터 감소한다.

 

나. 치과병원 인허가연도와 운영기간
2016년 2월 현재 인허가를 받은 치과병의원 21,683개의 폐업과 운영중인 운영상태에 따른 운영기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를 <표 9>에서 제시하였다. 2016년 2월 기준 폐업상태인 5,366개의 평균 운영기간은 8.18년이며, 현재 운영중인 16,002개의 평균 운영기간은 14.06년으로 나타났다. 분산분석 결과에 의하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t=-41.228, p<0.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6년 2월 기준 5년 단위별 치과병의원 인허연도에 따른 운영기간은 <표 10>과 같다. 1946년에 인허가를 받은 치과병의원은 현재 폐업상태이며 63년 동안 운영되었다. 1956-1960년 사이에 인허가를 받은 치과병의원 4개는 현재 폐업상태이며 평균 운영기간은 51년이다. 운영기간의 기준인 2016년 2월에 가까워질수록 운영기간은 지속적으로 줄어든다. 5년 단위별 인허가연도에 따른 치과병원의 운영기간의 이전 5년 대비 운영기간 차이를 살펴보면 운영기간의 차이가 5년 단위보다 긴 경우는 1976-1980년 평균 5.184년, 1981-1986년 평균 5.937년, 1986-1990년 평균 5.347년으로 나타났다.
앞에서 분석한 것처럼 치과병의원 인허가수가 급증하는 1986-1990년부터 1991-1995년, 1996-2000년, 2001-2005년, 2006-2010년, 2011-2015년 순으로 2016년에 가까워질수록 평균 운영기간은 줄어들고 있으며, 평균 5년 단위 운영기간 차이도 5.347년, 4.828년, 4.320년, 4.150년, 4.041년, 3.723년으로 줄어들고 있다. 즉 치과병의원의 운영기간이 실제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0>의 내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 2016년 2월 기준 5년 단위별 치과병의원 인허가연도와 운영상태에 따른 운영기간을 분석하여 <표 11>에 제시하였다. 본격적으로 치과병의원이 인허가된 1956-1960년부터 2016년 2월 현재 폐업한 곳의 운영기간을 살펴보면 최근에 인허가된 병원일수록 폐업시까지 운영기간이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다. 2006-2010년에 인허가된 치과병원은 폐업시까지 평균 운영기간이 3.107년으로 나타났다. 최근 2011-2015년 5년 사이에 인허가된 치과병의원은 폐업시까지 평균 운영기간이 1.339년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 이내에 인허가된 치과병의원의 경우는 폐업시까지의 평균 운영기간이 5년 미만으로 매우 짧아졌음을 알 수 있다.

 

 

?Ⅳ. 고찰 

 

이 연구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2016년 2월 현재 공개된 21,686개의 치과병의원의 운영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서 특별시/광역시/광역자치도 및 특별자치도/시 단위에서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등 수도권에서 치과병의원이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이 운영되고 있다. 둘째, 분석단위를 시?군?구로 확장하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운영중인 치과병의원이 많은 10개 지역은 ① 서울특별시 강남구(581개), ② 경기도 성남시(415개), ③ 경기도 수원시(382개), ④ 서울특별시 서초구(320개), ⑤ 경상남도 창원시(303개), ⑥ 서울특별시 송파구(295개)와 ⑦ 경기도 고양시(290개), ⑧ 경기도 부천시(262개)와 용인시(262개), ⑩ 전라북도 전주시(224개)이다. 셋째, 치과병의원 인허가수 대비 현재 운영수 비율은 세종특별자치시와 제주특별자치도가 높으며, 광역자치도가 광역시보다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 강남구, 노원구, 영등포구에서는 인허가 받은 치과병의원 10개 중 4개만 운영되고 있으며, 경기도 수원시와 용인시, 서울특별시 서초구는 인허가 받은 치과병의원 10개 중 7-8개가 운영되고 있다. 넷째, 세종특별자치시와 제주특별자치도는 치과병원의원수는 적지만 인구수, 세대수는 많은 반면 도시면적은 작아서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 세대수가 다른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특별시와 광역시는 광역자치도에 비해 치과병의원수는 많지만 1개당 인구수와 세대수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치과병의원 인허가수는 1946년부터 꾸준히 증가하다 1986-1990년, 1991-1995년 사이에 급증하였으며, 최근 2011-2015년 사이에 감소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치과병의원 인허가연도에 따른 2016년 2월 기준 운영수와 폐업수도 유사한 변화추이가 나타났다. 일곱 번째, 치과병의원 인허가연도에 따라 2016년 2월 현재까지 운영기간을 살펴보면 치과병의원의 운영기간이 실제적으로 감소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최근 5년간 인허가된 치과병의원이 폐업상태가 되는 평균 운영기간은 약 1년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치과병의원 운영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거시적인 측면에서 치과병의원 개원과 운영을 위해 치과병의원 현황을 지도화(mapping)할 필요가 있다. 치과병의원지도를 개발한다면 다른 분야처럼 회원제나 비회원제, 무료나 유료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공개할 수 있다. 치과병의원 개원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중요 요소가 주변에서 운영 중인 치과병의원과 인구수, 세대수 등이므로 치과병의원을 개원하거나 인수하는 고객, 전문의 입장에서 치과병의원 실태와 지도는 매우 중요한 정보가 된다. 또한 치과병의원지도를 개발한 관련 공익 협회나 학회에서는 지역별 적절한 치과병의원 분배를 통한 치과병의원 전체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치과병의원지도를 통해 피라미드형 네트워크치과, 기업형 사무장병원 등 국민건강권을 위협하고 의료전달체계를 무너뜨리는 문제에 대해서도 적극적인 개입이 가능하다.


둘째, 개인적 측면에서 치과병의원 개원에 있어서 지역적 분포를 고려해야 한다. 이번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부 지역은 치과병의원이 너무 과밀하게 운영 중이며, 세종특별자치시와 같이 일부 지역은 치과병의원 1개당 인구수, 세대수 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치과병의원수가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체적인 측면에서 위험한 치과병의원에 대한 정보는 전체 치과 병의원과 전문인력이 공유해야 한다. 2016년 2월 기준 공개된 21,686개 치과병의원 자료에 의하면 동일한 소재지에서 인허가, 폐업이 반복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나타났다. 이런 경우는 동일한 의료진에 의해 치과병의원 운영이 잘되어 명의만 변경하는 경우, 운영이 어렵거나 잘되어 다른 의료진이 인수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운영이 잘 되든 운영이 어려운 경우든 탈세, 인수사기 등 불법적인 행동으로 연계되어 국가나 개인에게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공개된 21,686개 치과병의원에 대한 소재지와 치과의사면허번호를 필터링 하여 위험한 수준에 있는 소재지는 공개하여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 연구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개괄적으로 제주특별자치도 및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한 광역자치단체별로 치과병의원의 운영실태를 인구와 기간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동일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 경기도 등 치과병의원수가 많은 광역자치단체순으로 치과병의원 소재지를 특별시 및 광역시는 구(군) 단위, 광역자치도는 중소도시별로 분류하여 지역별 인구수, 세대수, 면적, 인허가연도, 운영상태, 운영기간 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즉, 서울특별시, 경기도, 세종특별자치시 등 광역자치단체와 특별자치단체별로 분석범위는 좁히고 분석수준은 높여서 광역자치지역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1. 대한치과의사협회(http://www.kda.or.kr)
2. 「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활성화에 관한 법률」
3. 공공데이터포털(www.data.go.kr)
4. 행정자치부. (2016), 「2015년 주민등록 인구 및 세대현황」